티스토리 뷰

개발 n/linux

vi 에디터 기본 사용법

허리업2 2020. 10. 31. 20:16
반응형

vi 에디터는 유닉스 계열 시스템의 90% 이상 설치되어 있는 기본 에디터로 처음 접하는 경우는 매우 불편하지만

사용을 해보면 상당히 간편하고 편하게 쓸 수 있는 에디터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.

 

처음 사용하면서는 굳이 이걸 왜 쓰지, 이걸 꼭 써야 되나 했지만

서버에 접속해서 파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꼭 써야 되었기 때문에 조금씩 사용을 해보다가

지금은 50:50 정도로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.

 

vi 에디터는 기본적으로 일반모드, 입력모드, 명령모드가 존재합니다.

일반모드는 파일 내에서 이동을 하거나 검색을 할 수 있는 모드

입력모드는 일반모드에서 i, a, o 등 키를 입력하여 문서를 입력을 할 수 있는 모드

명령모드는 : 를 이용해서 명령을 실행해서 변경내용을 저장하거나 문자를 변환할 수 있는 모드

 

1. 새로운 파일을 만들거나 기존 파일 열기

vi 파일명

파일명이 존재하지 않으면 일반모드로 새로운 파일을 열어 줌

파일명이 존재하면 일반모드로 열어서 보여줌

 

2. 파일을 입력모드로 변경

일반모드에서 i , a , o 키를 누르면 입력모드로 변경됨

입력모드시 좌측 하단에 -- INSERT -- 문구가 생기면서 입력모드로 변경됨

 

입력모드 명령어

명령어 설명
i 현재 커서가 위치한 칸에 입력
I (Shift + i)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의 제일 앞에서부터 입력
a 현재 커서가 위치한 다음칸부터 입력
A (Shift + a)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의 제일 마지막칸부터 입력
o 현재 커서가 위치한 다음줄에 입력
O (Shift + o) 현재 커서가 위치한 이전줄에 입력
s 현재 커서가 위치한 한 글자를 지우고 입력
S (Shift + s) 현재 커서가 위치한 한 줄을 지우고 입력

 

 

3. 파일을 일반모드로 변경

ESC

일반모드시 좌측 하단에 표시되던 -- INSERT -- 문구가 사라지면서 일반 모드로 변경됨

 

4. 파일 저장

:w

:(콜론)을 입력하여 w 명령어를 실행하면 내용이 저장이 됨

 

5. vi 종료 (파일닫기)

:q

:(콜론)을 입력하여 q 명령어를 실행하면 파일을 닫고 에디터가 종료됨

같이 사용되는 명령

:q! 변경된 내용 저장하지 않고 강제 종료

:wq 변경된 내용을 저장하고 종료

 

 

 

6. 커서이동(방향이동) 방법 및 명령어

커서를 이동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화살표 방향기 4개와(→) PageUp, PageDown을 이용해서도 가능합니다.

하지만 vi에디터에서는 커서를 이동할 수 있는 명령어가 따로 존재합니다.

방향키가 없는 키보드에서는 유용한 기능이니 기본적인 몇 가지만 알아둬도 편할 거예요

 

커서이동 명령어(제가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)

명령어 설명
h 커서를 왼쪽으로 한칸씩 이동
j 커서를 아래쪽으로 한칸씩 이동
k 커서를 위쪽으로 한칸씩 이동
l 커서를 오른쪽으로 한칸씩 이동
w 다음 단어의 첫글자로 이동(단어단위 이동)
^ 커서가 있는 줄의 첫 문자로 이동
$ 커서가 있는 줄의 제일 끝으로 이동
0 커서가 있는 줄의 제일 앞으로 이동
gg 문서의 제일 첫번째 줄로 이동
G 문서의 제일 마지막 줄로 이동
:50 입력한 숫자의 줄로 이동(50번째 줄로 이동)
Ctrl + b 이전 화면으로 이동
Ctrl + f 다음 화면으로 이동
50% 입력한 %(퍼센트)에 해당하는 줄로 이동(50%에 해당하는 줄로 이동)

 

7. 삭제, 복사, 붙여넣기 명령어

삭제 및 복사/붙여넣기도 사용하면서 손에 익숙해지면 의외로 편하고 쉽습니다.

 

삭제 및 복사/붙여넣기 명령어

명령어 설명
x 현재 커서가 위치한 문자를 삭제
dw 현재 커서가 위치에서 문자 단위로 삭제(문자나 특수문자 공백등을 기준이 됨)
dd 현재 커서가 위치한 한 줄을 삭제
10dd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에서 숫자만큼 삭제(10줄이 삭제됨)
yy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을 복사
10yy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에서 숫자만큼 복사(10줄이 복사됨)
p 복사한 내용을 커서가 위치한 다음줄에 붙여 넣기
P (Shift + p) 복사한 내용을 커서가 위치한 이전줄에 붙여 넣기

 

8. 되돌리기 명령어

작업 도중 이전으로 되돌리거나 다시 이후로 되돌리는 기능은 필수죠

윈도우에서 사용하는 실행취소(Ctrl+z) 및 다시실행(Ctrl+y)와 같은 명령어입니다.

 

되돌리기 명령어

명령어 설명
u 이전 상태로 되돌림(윈도우 Ctrl + z 기능과 동일)
Ctrl + r 이후 상태로 되돌림(윈도우 Ctrl + y 기능과 동일)

 

9. 검색 명령어

단어를 검색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

 

검색 명령어

명령어 설명
/test "test" 와 일치하는 문자를 현재 커서 위치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검색
?test "test" 와 일치하는 문자를 현재 커서 위치부터 위쪽 방향으로 검색
n 위 명령어로 찾은 문자중 다음 문자로 이동
N (Shift + n) 위 명령어로 찾은 문자중 이전 문자로 이동

 

10. 검색어 치환 명령어

:%s/찾을문자/바꿀문자/g

검색을 하는 경우가 그냥 검색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검색한 문자를 변경하기 위한 경우도 있는데요

이때 검색한 문자를 다른 문자로 변경하고자 할 때 쓰는 명령어입니다.

파일 내 특정 단어를 일괄로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하면 편리하니 알아두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.

 

 

vi 에디터의 가장 기본적인 명령어를 정리해 봤습니다.

 

 

반응형

'개발 n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ar 파일 압축 및 해제  (0) 2020.11.02
파일 링크 ln 사용법  (0) 2020.11.01
댓글